회원메뉴

인문/교양

민화학교에서 발간하거나 관련된 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 아트북
  • 인문/교양
    • 민화/도록
    • 인문/교양
    • 역사/문화
    • 예술/일반
    • 어린이/청소년
    • TSOM 아트케이스

신서: 유향 찬집 완역

책 정보
저자 홍기용
출판사 21세기북스 출간일 2023년 8월 16일
쪽수 456쪽 크기 152×225
정가 32,000원 ISBN 979-11-7117-032-6 (03140)
판매가 28,800원 (10% 할인) 배송비 3,000원
총 상품 금액 :

책 소개

탁월한 리더는 고전으로 말한다!

리더의 도()와 덕()은 어떻게 얻어지는가?

 

 

신서(新序)는 중국 전한(前漢)의 유향(劉向)이 편집한 고사집이다. 상고(上古)시대부터 한나라 때에 이르기까지 숱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아 엮은 고전의 정수라 할 만하다. 유향은 외척과 환관이 득세하는 등 국가가 위기와 혼란에 처하자, 상소의 역할을 할 책을 써서 왕에게 올렸다. 완곡한 표현으로 왕이 잘못을 고치도록 청하는 풍간(諷諫)’의 한 형태가 신서인 것이다. 따라서 신서는 태생부터가 제왕의 리더십 교과서라 할 수 있다.

 

신서는 집필 목적에 맞게 리더의 판단과 언행에 관한 내용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사(刺奢)’에서는 제왕의 탐욕과 사치, 허례허식이 나라를 파멸에 이르게 할 수 있음을 경계한다. ‘절사(節士)’에서는 지조를 지닌 선비를 알아보는 법을 일러준다. ‘의용(義勇)’에서는 용기 있는 결단과 행동을 일깨운다. ‘선모(善謀)’에서는 상황에 맞는 훌륭한 계책을 어떻게 세울지를 과거 사례를 통해 가르친다.

 

이렇듯 옛이야기와 말들을 모아 유형별로 분류해 제시함으로써, 현재의 리더들이 옛 성군과 명신들의 지혜와 통찰을 생생하게 접하고 배울 수 있도록 한 것이 신서의 미덕이다. 신서의 가르침은 시대를 뛰어넘어 사람을 이끄는 방법을 고민하는 지도자들에게 혜안을 줄 것이다.

목차

차례

 

들어가는 말 다른 사람의 스승이 될 만한 신서

자서(自序) 유향(劉向)

1잡사 1(雜事一) - 이런저런 이야기

2잡사 2(雜事二) - 이런저런 이야기

3잡사 3(雜事三) - 이런저런 이야기

4잡사 4(雜事四) - 이런저런 이야기

5잡사 5(雜事五) - 이런저런 이야기

6자사(刺奢) - 사치를 나무라는 이야기

7절사(節士) - 절개가 있는 선비

8의용(義勇) - 마땅함과 용기가 있는 선비

9선모상(善謀上) - 좋은 계책 ()

10선모하(善謀下) - 좋은 계책 ()

옮긴이의 말 스스로 공부해서 풀어보고자 하는 이들에게

저자 소개

지은이 홍기용

 

1964년 서울에서 태어나 연세대 기계공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유체기계 석사과정을 마쳤다. 1989년부터 LG전자에서 연구원으로 직장생활을 시작하여 가전 분야 연구, 기술 전략 및 상품/전략 기획 업무를 수행했다. 2021년 말 히타치-LG 데이터 스토리지에서 퇴직했다.

2017년부터 논어등반학교에서 논어, 대학, 중용, 대학연의, 사기, 춘추좌씨전 등을 배우고 있다. 스스로 배우는 힘을 키우기 위해 짧을 글들을 직접 읽다가, 사서(四書)와 같은 경전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다양한 케이스를 모아 놓은 유향의 신서를 번역하게 되었다. 앞으로도 이와 같은 고전 번역을 지속할 예정이다.

 

감수 이한우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나 고려대학교 영문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 철학과 석사 및 한국외국어대학교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했다. 뉴스위크 한국판문화일보를 거쳐 1994년부터 조선일보기자로 일했고 2002~2003년에는 논설위원, 2014~2015년에는 문화부장을 지냈다. 2001년까지는 주로 영어권과 독일어권 철학책을 번역했고, 이후 조선왕조실록을 탐색하며 이한우의 군주열전(6)을 비롯해 조선사를 조명한 책들을 쓰는 한편, 2012년부터는 논어로 논어를 풀다등 동양 사상의 고전을 규명하고 번역하는 일을 동시에 진행해오고 있다. 2016년부터는 논어등반학교를 만들어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추어 고전을 강의하고 있다. 2017년부터 2021년까지 약 5년에 걸쳐 이한우의 태종실록(19)을 완역했으며, 그 외 대표 저서 및 역서로는 이한우의 인물지, 이한우의 설원(2), 이한우의 태종 이방원(2). 이한우의 주역(3), 완역 한서(10), 이한우의 사서삼경(4), 대학연의(·)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