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시인과 화가의 관계는 바늘과 실, 형제지간 같다. 1920~30년대의 서울은 문학과 미술이 한 가족이 되어 동고동락했다. 문학과 미술은 상호 영향을 주고받고 교유하며 새로운 창작의 세계로 진입, 예술세계를 풍요롭게 했다.
화가 나혜석과 시인 최승구를 비롯, 시인 이상과 화가 구본웅, 백석과 정현웅을 거쳐 이중섭과 구상 그리고 시인 김지하와 판화가 오윤에 이르기까지. 문단과 화단에서의 끈끈한 관계로 유명한 사례는 많고도 많다.
이 책은 근대기의 시인과 화가들의 이야기를 소개하고자 기획된 것으로, 오래 전 『인간과 문학』 잡지에 연재했던 내용이다. ‘문학과 미술의 즐거운 만남’을 기대하고픈 마음을 담았다.
목차
서문_ 시인과 화가의 영광을 위하여
01 파격을 그린 화가와 저항시인_ 나혜석과 최승구의 비련
02 박제된 천재의 비밀_ 시인 이상과 화가 이상
03 20세기 전반 최정상급 문예운동가_ 카프의 주역 김복진
04 살아 있는 자체가 락樂이다_ 100세 화가 김병기의 비화
05 빼앗긴 들의 노래와 화단_ 시인 이상화 가문과 대구 미술계
06 북방에서 친구에게_ 시인 백석과 화가 정현웅의 동행
07 조선의 풍경화는 달라야 한다_ 정지용과 정종여의 남해 여행
08 ‘만주’라는 외곽에서 이룬 쾌거_ 시인 윤동주와 화가 한낙연
09 ‘유화 붓의 문인화’_ 김용준과 김환기 그리고 노시산방
10 “예술에는 노래가 담아져야 할 것 같소”_ 김환기, 시정신의 조형적 변주
11 문인들의 사랑 받은 생명주의 작가_ 이중섭 신화와 시인들
12 궁핍한 시대의 진정성_ ‘나목’을 닮은 박수근과 박완서
13 모두의 ‘고향의 노래’_ 이원수와 김종영, 꽃대궐의 현장
14 허무와 만다라의 세계_ 세속을 초월하는 시인과 화가, 오상순과 하인두
15 ‘예술의 기쁨’을 공유하다_ 조각가 김세중과 시인 김남조 부부
16 서정성과 현실성의 감동 예술_ 소설과 오영수와 화가 오윤 부자
17 신명 속의 낮도깨비_ 민중화가 오윤과 김지하
더 읽어보기_ 오윤을 회고하다
서문_ 시인과 화가의 영광을 위하여
01 파격을 그린 화가와 저항시인_ 나혜석과 최승구의 비련
02 박제된 천재의 비밀_ 시인 이상과 화가 이상
03 20세기 전반 최정상급 문예운동가_ 카프의 주역 김복진
04 살아 있는 자체가 락樂이다_ 100세 화가 김병기의 비화
05 빼앗긴 들의 노래와 화단_ 시인 이상화 가문과 대구 미술계
06 북방에서 친구에게_ 시인 백석과 화가 정현웅의 동행
07 조선의 풍경화는 달라야 한다_ 정지용과 정종여의 남해 여행
08 ‘만주’라는 외곽에서 이룬 쾌거_ 시인 윤동주와 화가 한낙연
09 ‘유화 붓의 문인화’_ 김용준과 김환기 그리고 노시산방
10 “예술에는 노래가 담아져야 할 것 같소”_ 김환기, 시정신의 조형적 변주
11 문인들의 사랑 받은 생명주의 작가_ 이중섭 신화와 시인들
12 궁핍한 시대의 진정성_ ‘나목’을 닮은 박수근과 박완서
13 모두의 ‘고향의 노래’_ 이원수와 김종영, 꽃대궐의 현장
14 허무와 만다라의 세계_ 세속을 초월하는 시인과 화가, 오상순과 하인두
15 ‘예술의 기쁨’을 공유하다_ 조각가 김세중과 시인 김남조 부부
16 서정성과 현실성의 감동 예술_ 소설과 오영수와 화가 오윤 부자
17 신명 속의 낮도깨비_ 민중화가 오윤과 김지하
더 읽어보기_ 오윤을 회고하다
01 파격을 그린 화가와 저항시인_ 나혜석과 최승구의 비련
02 박제된 천재의 비밀_ 시인 이상과 화가 이상
03 20세기 전반 최정상급 문예운동가_ 카프의 주역 김복진
04 살아 있는 자체가 락樂이다_ 100세 화가 김병기의 비화
05 빼앗긴 들의 노래와 화단_ 시인 이상화 가문과 대구 미술계
06 북방에서 친구에게_ 시인 백석과 화가 정현웅의 동행
07 조선의 풍경화는 달라야 한다_ 정지용과 정종여의 남해 여행
08 ‘만주’라는 외곽에서 이룬 쾌거_ 시인 윤동주와 화가 한낙연
09 ‘유화 붓의 문인화’_ 김용준과 김환기 그리고 노시산방
10 “예술에는 노래가 담아져야 할 것 같소”_ 김환기, 시정신의 조형적 변주
11 문인들의 사랑 받은 생명주의 작가_ 이중섭 신화와 시인들
12 궁핍한 시대의 진정성_ ‘나목’을 닮은 박수근과 박완서
13 모두의 ‘고향의 노래’_ 이원수와 김종영, 꽃대궐의 현장
14 허무와 만다라의 세계_ 세속을 초월하는 시인과 화가, 오상순과 하인두
15 ‘예술의 기쁨’을 공유하다_ 조각가 김세중과 시인 김남조 부부
16 서정성과 현실성의 감동 예술_ 소설과 오영수와 화가 오윤 부자
17 신명 속의 낮도깨비_ 민중화가 오윤과 김지하
더 읽어보기_ 오윤을 회고하다
저자 소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