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한국의 대표적인 미술사학자이자 미학자인 우현 고유섭 선생의 한국미술사연구서를 선생의 제자인 진홍섭 전 이화여대 교수가 이해하기 쉽게 엮었다. 난해한 한문 투의 글은 쉬운 한글로 풀었으며, 발표 당시의 시대적 배경과 출처, 어려운 한문 원전의 해석, 전문용어 해설, 해당 도 판자료 등도 함께 수록했다.
목차
Ⅰ. 조선미술의 성격
조선고미술에 관하여
조선미술문화의 몇 낱 성격
고대인의 미의식
조선문화의 창조성
조선고대미술의 특색과 그 전승 문제
삼국미술의 특징
신라와 고려 예술문화의 비교시론
조선미술과 불교
Ⅱ. 조선의 고적
조선 고적에 빛나는 미술
우리의 미술과 공예
고구려의 미술
고구려의 쌍용총
신라의 미술
신라의 공예미술
금동미륵반가상 고찰
고려도자
청자와와 양이정
Ⅲ. 미술 제작자
강고내말
김대성
박한미
안견
김홍도
Ⅳ. 순례기
사적 순례기
고구려 고토 국내성 유관기
저자 소개
고유섭
1905년 인천 출생, 1925년 서울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하고 경성제국대학 법문학부 철학과에서 미학과 미술사를 전공하였다. 1933년 개성부립박물관 관장으로 부임하여 국내의 중요한 고대 미술품의 조사와 연구에 힘썼고 방대한 양의 논문을 발표하였고 1944년 병으로 사망했다.
그가 생전에 신문이나 잡지에 발표한 글들은 죽은 뒤 제자들에 의하여 『조선탑파(韓國塔婆)의 연구』, 『한국미술사급미학논고(韓國美術史及美學論攷)』, 『조선화론집성(朝鮮畵論集成)』, 『한국미술문화사논총(韓國美術文化史論叢)』, 『송도의 고적』 등으로 간행되었다. 한국 미술사에서의 그의 업적을 기리는 의미에서 ‘우현상(又玄賞)’을 제정하여 오늘에 이르고 있다.
진홍섭
일본 메이지대학 경제학부를 졸업했다. 국립중앙박물관 경주 분관장, 이화여대 교수 및 박물관장, 연세대 용재석좌교수를 지냈다. 문화재위원회 위원장과 한국미술사학회 회장을 거쳐, 2007년 현재 한국미술사학회 이사로 있다. 지은 책으로 <불상>, <석불>, <금동불>, <한국미술사 자료 집성>1~7, <한국불교미술>, <한국의 석조미술>, <금속공예>, <삼국시대 미술 문화>, <신라, 고려시대 미술 문화>, <신라 북악 유적조사보고> 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