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원메뉴

예술/일반

민화학교에서 발간하거나 관련된 도서를 안내해 드립니다.
  • 아트북
  • 예술/일반
    • 민화/도록
    • 인문/교양
    • 역사/문화
    • 예술/일반
    • 어린이/청소년
    • TSOM 아트케이스

우리 시대 큐레이터들의 생존기

책 정보
저자 고동연, 신현진
출판사 다할미디어 출간일 2016-10-10
쪽수 288쪽 크기 152*223mm(A5신) | 403g
정가 15,000원 ISBN 9791186306581
판매가 13,500원 (10% 할인) 배송비 3,000원
총 상품 금액 :

책 소개

지난 1년간 비평가 고동연과 전 쌈지스페이스 제1 큐레이터이자 비평가인 신현진이 국내 미술계에서 20년 이상의 경력을 쌓아온 10여명 안팎의 큐레이터들을 만나서 인터뷰한 내용을 엮은 책이다. 국·공립, 기업 미술기관의 매니저, 연구원, 정책가, 비평가로도 활동한 인터뷰 참여자들은 대중매체를 통해서 포장되어온 피상적인 큐레이터의 모습이 아니라 스스로 경험하고 겪어온 큐레이터와 한국 미술계의 실상을 파헤친다.

사회변혁을 위한 시각을 제시하는 사람들을 ‘소셜큐레이터’라고 부르기도 하는데, 이 책의 인터뷰 글은 저자가 만난 10여 명의 큐레이터들이 확장된 큐레이터의 업무에 적응하고 개발하는 활약상을 보여주고 있다. 이를 통하여 큐레이터로서의 앞날을 꿈꾸는 차세대 주역들은 선배들이 자신의 커리어를 쌓아가면서 택했던 문제해결의 전략을, 일반 독자들은 최근 20년간 신자유주의의 영향권 아래에서 한국 미술계가 겪은 구조적 변화의 추이를 알 수 있게 된다.

목차

프롤로그: 큐레이터로 살아남기 위한 ‘진짜’ 입문서 /고동연ㆍ신현진

 

1장 큐레이터의 역할이 변하고 있다

 예술정책가로서의 큐레이터 /안미희

 예술생태계와 사회적 기업 ‘캔’ /김성희

 비평가와 큐레이터, 그 차이와 접점 /김종길

 나는 큐레이터를 그만두었다 /신윤선

 

2장 협업하며 창조하다 큐레이터와 작가

 큐레이터의 역할, 그리고 작가의 역할 /김희진

 젊은 큐레이터와 작가들의 관계 맺기 /임다운

 작가나 스태프는 신념을 공유하는 벗 /김장연호

 

3장 전문직 큐레이터의 사회적 현실 

 아웃 소싱의 고용방식 /김희진

 전문계약직 큐레이터의 직위 /김종길

 대기업 후원기관의 큐레이터 /비비안 순이 킴

 

4장 전통적인 기관 밖의 큐레이터들

 미술시장 보충공간으로서의 사루비아다방 /김성희

 갤러리킹의 예술대중화 프로젝트 /바이홍

 아카이브 봄의 탄생과 통섭의 시대 /윤율리

 

5장 Staying Alive 큐레이터로 살아남기 

 큐레이터의 행정력 /김성희

 자신만의 전문성이 필요하다 /김희진

 플랫폼을 제공하는 쉐도우 /이대형

 

인터뷰 참여 큐레이터 소개

 

에필로그

저자 소개

고동연 

전후 미술사와 영화이론으로 뉴욕시립대학교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귀국 후 아트2021의 공동디렉터(2008∼2010), 신도 작가지원프로그램(시냅, 2011∼2014) 및 국내 유수의 창작센터, 작가상의 멘토와 심사위원을 역임했다. ‘동아시아 현대미술에서의 대중소비문화나 역사적 기억’과 관련된 주제로 국내 등재학술지와 국제 유명학술지 『Inter-Asia Cultural Studies』(런던, 2010, 2013), 『Photography and Culture』 (런던, 2015) 등에 발표해 왔다. 최근 발간된 저서로는 『Staying Alive: 우리시대 큐레이터들의 생존기』(2016), 『소프트 파워에서 굿즈까지: 1990년대 이후 동아시아 현대미술』(2018)이 있으며, 현재 『Postmemory Generation and the Korean War: Post-1990s South Korean Arts』 (2020 예정)을 집필하고 있다.  

 

신현진 

쌈지스페이스 제1큐레이터, SAMUSO 전시실장, 뉴욕 아시안 아메리칸 예술 센터(Asian American Arts Center) 프로그램 매니저로 일했다. 이후 권위를 뺀 미술비평의 내용을 담은 소설을 쓰겠다는 밀리언셀러 소설가 지망생이 되어 2013년에는 연재소설 『미술계 비련과 음모의 막장드라마』가 [테이크아웃 드로잉]에서 발행한 신문에 실렸다. 번역서로 『예술 노동자』(열화당, 근간)가 있다. 「사회적 체계 이론의 맥락에서 본 대안공간과 예술의 사회화 연구」로 2015년 예술학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