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수천 점이나 되는 방대한 불화 작품을 체계화시킨
독립된 최초의 한국불교회화사
이 땅에 불교가 수용된 372년부터 조선조가 역사에서 사라진
1910년까지 한국의 불화를 통사적으로 체계화시키고 있다.
불화론佛畵論 즉 불화의 조형사상이나 시대상, 도상특징이나 양식특징 등을
체계화한 이론을 각 시대별 불화의 변천 앞에 전재하여 불화 변천을 이해하는데 도움을 준다.
조선조부터는 조성연대를 가진 화기畵記가 있는 불화 작품 위주로 논의를 전개하고자 했으며,
조선 초기부터의 불화에는 반드시 조성연대, 작가, 시주, 주관자, 주관 사찰이 기재된 화기를 주석에 반영하였다.
18세기 말이나 19세기에는 수많은 작품을 개별적으로 일일이 분석하고 논의하기가
어려워 불화의 흐름을 유파별로 정리하였다. 대개 경기, 충청, 전라, 경상남북도 등
크게 도별로 화파를 정리하여 불화 변천의 흐름만을 요점적으로 체계화시켰다.
다른 장르에 비하여 월등하게 방대한 사료를 체계화시켜
화론과 함께 형식과 양식의 변천을 일목요연하게 정립하였다.
목차
Prologue
Ⅰ. 한국불화론
1. 한국불화의 성격
2. 한국불화의 종류
3. 한국불화의 시대 구분
Ⅱ. 삼국시대의 불화
1. 삼국시대 불화론
2. 고구려의 불화
3. 백제의 불화
4. 고신라의 불화
5. 가야의 불화
Ⅲ. 통일신라시대 및 발해의 불화
1. 통일신라의 불화
2. 발해의 불화
Ⅳ. 고려의 불화
1. 고려불화론
2. 고려 전반기(918~1170)의 불화 90
3. 고려 후반기(1170~1392)의 불화 98
4. 고려불화에서 조선불화로의 변모
Ⅴ. 조선의 불화
1. 조선 불화론
2. 조선 전반기의 불화
3. 조선 후반기의 불화
Ⅵ. 한국불화의 대외교류
1. 고려불화의 대외교류
2. 조선불화의 대외교류
표 리스트
도판 리스트
찾아보기
저자 소개
대학시절 불교학생회장을 시작으로 50여 년간 동국대학교 교수로 재직하며 부처님의 가르침에 따라
일평생 불교미술 을 연구한 세계적 석학이다. 우리나라 불교미술사 발전에 크게 공헌했다.
그는 불교미술사 연구에 있어 불교문화재 조사·지정·수 복 등에 힘썼고, 최초로 석굴암 불상을 종합적으로 연구했다.
또한 반구대 암각화를 발견해 세계유산으로 자리매김 하게 했다. 그리고 수많은 국내 불교사원지뿐만 아니라
발해·인도·파키스탄·간다라 불교사원지를 한국 최초로 발 굴, 불교문화의 정체성을 정립하는데 기여했다.
동국대학교 박물관장, 한국미술사학회장 등을 맡아 일했으 며, 동국대학교 미술학과 교수(대학원 미술사학과)를
지낸바 있으며, 동국대 불교미술문화재연구소장, 서울시문화재위원 장, 조계종 성보문화재위원 등을 역임하였다.
현재 사단법인 한국미술사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저서로는 『한국의 불화』(열화당, 1984), 『한국미술사 방법 론-우리 미술사 연구의 역사・이론・방법』
(열화당, 2000), 『한국불교미술사』(한언, 2002), 『고려불화』(열화당, 1994) 등 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