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소개
※소년한국 우수어린이도서
■ “우리말”과 “글쓰기” 최고 전문가(중앙일보 기자이면서 어문연구소 부국장)에게 배우는 헷갈리고 틀리기 쉬운 우리말
■ 이제 막 언어생활에 눈을 뜨고 글쓰기를 시작하는 어린이들을 위한 바른말 사용법 익히기
■ 인터넷 시대, 정보화 시대에 속도와 정확성에서 더 빛나는 한글 제대로 배우기
■ 어린이와 성인 등 한류를 즐기는 기본 “국어 실력 키우기”
목차
들어가는 말
1부 비슷한 말 구분해 쓰기
-데/-대 | -든지/-던지 | -로서/-로써 | -률/-율 | -에/-에게 | 가르치다/가리키다 | 결재/결제 | 금새/금세 | 껍데기/껍질 | 꽃봉오리/산봉우리 | 낫다/낳다 | 너머/넘어 | 놀라다/놀래다 | 늘이다/늘리다 | 다르다/틀리다 | 당기다/댕기다 | 덕분/때문/탓 | 둘러싸인/둘러쌓인 | 떡볶기/떡볶이 | 띠다/띄다 | 맞추다/맞히다 | 바라다/바래다 | 번번이/번번히 | 부치다/붙이다 | 빌다/빌리다 | 안/않 | 왠/웬 | 조정/조종 | 한참/한창
못 다한 이야기 · 지나친 줄임말을 삼가세요
2부 헷갈리는 띄어쓰기 정복하기
간(間) | 걸 | 그중 | ㄴ즉 | 대로 | 데 | 동안 | 만 | 만큼 | 망정 | 못하다 | 바 | 밖 | 뿐 | 안되다 | 이것, 저것 | 지 | 지난 | 커녕 | 한번
못 다한 이야기 · 띄어 써야 할 거 같지만 꼭 붙여 써야 하는 단어들
3부 틀리기 쉬운 말 바로 쓰기
간지렸다/간질이다 | 갈께요/갈게요 | 과반수 이상/과반수 | 건데기/건더기 | 길다란/기다란 | 까발기다/까발리다 | 꺼예요/거예요 | 꾀임/꼬임 | 날으는 새/나는 새 | 달디달다/다디달다 | 담궜다/담갔다 | 덤테기/덤터기 | 데였다/데었다 | 뒤치닥거리/뒤치다꺼리 | 들어나다/드러나다 | 들여마셔라/들이마셔라 | 말빨/말발 | 맨얼굴/민얼굴 | 몇일/며칠 | 모자른다/모자란다 | 발자욱/발자국 | 본대없는/본데없는 | 본따다/본뜨다 | 뵈요/봬요 | 부화가 나다/부아가 나다 | (눈을) 불알이다/부라리다 | 사겨/사귀어 | 삼가다/삼가하다 | 설레이는/설레는 | 아다시피/알다시피 | 아지랭이/아지랑이 | 알맞는/알맞은 | 앳띤/앳된 | (나) 어떻해/나 어떡해 | 얼만큼/얼마큼 | 옴쭉달싹/옴짝달싹 | 우뢰/우레 | 으례/으레 | (꿈)이예요/꿈이에요 | 이제서야/이제야 | 일찌기/일찍이 | 있슴/있음 | 자잘못/잘잘못 | 졸립다/졸리다 | 추켜세우다/치켜세우다 | 치뤘다/치렀다 | 핼쓱하다/핼쑥하다 | 희안하다/희한하다
못 다한 이야기 · SNS에서 잘못 사용되는 우리말
저자 소개
배상복
1987년 중앙일보에 수습기자로 입사해 현재 어문연구소 편집위원(국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중앙일보에 ‘우리말 바루기’와 ‘글쓰기가 경쟁력’ 칼럼을 장기 연재하고 있다.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우리말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 씀으로써 일반인들이 우리말에 관심을 갖게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글쓰기와 관련한 신문 연재와 저술, 강연 등을 통해 최고의 글쓰기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로 문화부장관상인 ‘우리말글 대상’을 2회 수상했으며, 한글날 ‘우리말 지킴이’로 선정되기도 했다.
저자는 경희대 겸임교수와 백석대 외래교수, 이화여대 대학원 강사로 출강하고 있다. 각 대학과 기업체?언론사 등의 글쓰기 초청 강의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EBS ‘우리말 우리글’ 프로그램을 비롯, KBS?MBC 등 방송에 출연하기도 했다. 정부공인 실용글쓰기 인증시험 홍보대사 및 출제위원, 국립국어원 표준어 심의위원, 서울시 외국어 표기 자문위원, 취업진로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월간 《삼성앤유》 《신문과 방송》 《국회 예산춘추》 《인사관리협회지》 《바칼로레아논술》 등 다수 매체에 기고하고 있다.
1987년 중앙일보에 수습기자로 입사해 현재 어문연구소 편집위원(국장)으로 근무하고 있다. 중앙일보에 ‘우리말 바루기’와 ‘글쓰기가 경쟁력’ 칼럼을 장기 연재하고 있다. 어렵고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는 우리말을 쉽고 재미있게 풀어 씀으로써 일반인들이 우리말에 관심을 갖게 하는 데 크게 기여했다. 또한 글쓰기와 관련한 신문 연재와 저술, 강연 등을 통해 최고의 글쓰기 전문가로 활동하고 있다. 이러한 공로로 문화부장관상인 ‘우리말글 대상’을 2회 수상했으며, 한글날 ‘우리말 지킴이’로 선정되기도 했다.
저자는 경희대 겸임교수와 백석대 외래교수, 이화여대 대학원 강사로 출강하고 있다. 각 대학과 기업체?언론사 등의 글쓰기 초청 강의도 활발하게 하고 있다. EBS ‘우리말 우리글’ 프로그램을 비롯, KBS?MBC 등 방송에 출연하기도 했다. 정부공인 실용글쓰기 인증시험 홍보대사 및 출제위원, 국립국어원 표준어 심의위원, 서울시 외국어 표기 자문위원, 취업진로학회 이사 등을 맡고 있다. 월간 《삼성앤유》 《신문과 방송》 《국회 예산춘추》 《인사관리협회지》 《바칼로레아논술》 등 다수 매체에 기고하고 있다.
지은 책으로는 현대 문장론의 바이블로 일컬어지는 『문장기술』(이케이북)을 비롯해 『글쓰기 정석』(이케이북), 『이기는 자소서』(추수밭), 『어린이를 위한 헷갈리는 우리말 100』(이케이북), 『단어가 인격이다』(위즈덤하우스), 『기자 아빠의 논술 멘토링』(하다), 『한국인도 모르는 한국어』(21세기북스), 『엄마가 보는 논술』(랜덤하우스), 『첨삭기술』(중앙북스), 『우리말 바루기』(하다) 등이 있다.
김현철
홍익대학교에서 시각디자인을 공부했습니다. 현재 북디자이너로 활동하며 다양한 분야의 책들을 디자인하고 있어요. 그림 그리는 것을 좋아해서 틈틈이 일러스트 작업도 하고 있습니다. 찰리브라운과 스누피를 좋아해요. 어린이들과 강아지들도 좋아하고요. 앞으로 어린이들의 행복에 조금이라도 기여하는 그림작가가 되고 싶답니다. 그린 책으로는 《어린이를 위한 헷갈리는 dudeksd 100》, 《슈퍼대디 레알 잉글리시》, 《내 아이 마음에 무슨 일이 생긴 걸까》, 《행복 저글링》, 《폭스 팩터》 등이 있어요.